의제자료.jpg



 
[정치철학] 민족형태: 그 역사와 이데올로기(발리바르)
 작성자 : 전국학생행진
Date : 2007-01-24 12:17  |  Hit : 1,751   추천 : 0  
   민족형태_그_역사와_이데올로기.pdf (1.9M) 다운 150
민족형태: 그 역사와 이데올로기

에티엔 발리바르(파리1대학 교수, 철학)
번역: 서관모(충북대 교수, 사회학)


■ 해설

     마르크스주의 이론은 역사이론이다. 그것은 역사에 대한 '유물론적' 이론임을 자부하여 '역사적 유물론'으로 불린다('보편적 진리에 대한 이론으로서 철학'이라는 관념을 버린다면, 과학='역사적 유물론'; 철학='변증법적 유물론'이라는 정식을 기각한다면, 요컨대 진리에 대한 일종의 '종교적' 관념을 버린다면, 마르크스주의의 이론은 역사이론뿐이다). 그런데 역사에 대한 '유물론적'('물질론적') 이론이란 무엇인가? 다시 말해 역사에서 '물질적인 것'은 무엇인가?

     폭발한 마르크스주의의 위기가 일차적으로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은 아니라 해도 이론의 문제를 떠나 이 위기를 사고될 수 없다면, 제기되어야 할 것은 질문이다. 이런 근원적 질문이 제기되지 않는 한 마르크스주의의 위기는 '체험'은 되고 있다 하더라도 '인식'되고 있지는 못한 것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겠다. 자신의 생명력을 주장하기 위해서 마르크스주의는 이 질문에 대해 어떻게든 새로이 답변하지 않으면 안된다. 왜냐하면 이 질문에 대한 특정한 답변 위에 성립한 지금까지의 마르크스주의의 지배적 형상의 소멸과정은 이미 상당히 진행되었으며, 이것은 절대 우연의 소산이 아니기 때문이다.

     마르크스주의의 역사유물론은 계급구성체로서 사회구성체에 관한 이론이다. 마르크스의 유물론은 '사회적 관계의 유물론'이라 부를 수 있는 것으로서, 사회적 물질성(또는 '물질적인 것')의 유일한 토대를 노동에서 찾는다. 그러나 역사에서 물질적인 것(부득불 '물질/의식'이라는 개념쌍을 쓰자면, 의식에 대해 '외적'인 것)의 토대가 노동뿐인가? 달리 말해 보편적 적대는 노동의 분할에 토대를 둔 계급적대뿐인가? 그렇지 않다. 마르크스는 계급적대를 총체화하여 사회적 관계들을 계급관계로 환원했고 계급구성체로서 사회구성체라는 '사회적 전체'를 구성했다. 마르크스로 하여금 계급적대를 총체화하도록 만든 것은 그가 자유주의한테서 물려받은 사회에 대한 이원적 표상, 곧 시민사회/국가 대당이거니와 이런 총체화가 수반하는 그 모든 곤란과 재난은 이제 잘 알려져 있다.1) 프롤레타리아 계급투쟁을 지도하는 당은 절대지의 대용물이 되었고 프롤레타리아의 독재는 프롤레타리아에 대한 독재로 전화했다.

     발리바르가 나아가는 방향은 '모순들의 과잉결정(복잡성, 불균등성)'이라는 테제 위에서 마르크스의 노동의 인간학의 내재적 한계에 매여 있는 '역사유물론'을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것이다. 사회적 관계를 구조화하는 보편적 적대 또는 갈등으로는 노동의 분할에 기초를 둔 계급적대 외에도 성적 분할에 기초를 둔 성적 억압, 지식의 성격과 배분에 기초를 둔 갈등, 그리고 인종적, 민족적 분할에 기초를 둔 적대 등이 있다. 역사유물론은 이제 이런 복수의 보편적 적대들의 절합(節合) 위에서 재구성되어야 하는 것이 된다.

     발리바르는 정치의 3시기(고대, 근대, 탈근대)라는 맥락에서 근대정치의 내재적 한계를 들고 이 네 가지 갈등중 성적 갈등 및 지식을 둘러싼 갈등에 관련된 정치('탈근대정치')를 근대정치와 절합하고자 한다.2) 그에 앞서 근대정치 안에서 계급갈등과 절합되어야 할 측면은 인종적, 민족적 갈등이다. 현실적으로 그동안 모든 부르주아 혁명과 사회주의 혁명은 계급모순과, 다른 모순들 중에서 무엇보다도 이 민족적, 인종적 모순의 응축 속에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1968년 운동들의 의미중의 하나는 이 '탈근대정치'의 측면들이 최초로 일정에 오른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바로 이 민족주의에 대한 분석과 고려가 마르크스주의의 역사에서 '진정한 맹점'이었다.

     이런 성찰에서 출발하여 발리바르는 사회적 관계들을 '경제적 적대들의 추상적 표현으로 환원하는' 역사유물론을 해체하고 재구성하려 한다. 우선 문제되는 것이 '사회구성체' 개념이다. 마르크스의 '경제적 사회구성체' 개념은 '시민사회 개념의 현학적 쌍생아'일 뿐이며, 여기에 '상부구조'를 포함시킨 다른 용법으로서의 '사회구성체' 개념 역시 시민사회와 국가의 중첩으로서의 사회라는 표상의 번안일 뿐이다. 계급적대와 민족적 갈등의 절합의 측면에서 역사유물론의 결정적인 결합은 그것이 계급투쟁과 계급구성이 (...)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Me2Day로 보내기 게시글을 요즘으로 보내기

 
 

Total. 6
분류 추천
6 정치철학 공산주의 이후의 어떤 공산주의?(발리바르, 20… 전국학생행진 2011-08-02 1459 0
5 정치철학 레닌, <국가와 혁명> 전국학생행진 2008-02-04 1777 0
4 정치철학 시민과 계급 - 87년 이후 한국 정치의 이념과 … 전국학생행진 2007-07-24 1218 0
3 정치철학 계급과 대중의 변증법과 발리바르의 마르크… 전국학생행진 2007-02-01 1368 0
2 정치철학 민족형태: 그 역사와 이데올로기(발리바르) 전국학생행진 2007-01-24 1752 0
1 정치철학 [철학] 맑스주의 철학의 정통과 극한 : 소비에… 전국학생행진 2007-01-14 1820 0
AND OR

신자유주의에 맞서 대안세계화로! 전국학생행진  |  이메일 stu_link@hanmail.net 맨 위로
정보공유라이선스 이 홈페이지에서 전국학생행진의 모든 저작물은 '정보공유라이선스 2.0 : 영리금지'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