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우울에 대항하는 우리들의

바람직한 자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울’, 사르트르의 이 소설의 원제는 바로 우울이다. 사실 구토라는 제목이 더욱 강렬하고 비일상적인 느낌을 주는데, 구토로 제목을 바꾸면서 출판이 허가 되었다는 사실이 일견 아이러니하다. 형식면에서도 일반적인 소설과는 궤를 달리하는 이 글이 우울이라는 명제를 가지게 되면 그 시대 사회인들에게 지나친 우울을 전파시킬 것을 우려한 탓이었을까, 비록 과격하고 혐오스럽지만 강한 느낌이 드는 구토라는 제목이 편집부의 마음에 들게 된 것은.

이 책을 읽었던 이유는 분명하지 않으나, 글을 현대인들에게 추천해줄 이유는 확실한 듯하다. 실존과 본질의 사이의 그림자에서 방황하는 이 시대 인간들에게 방향성의 답은 제시해 주지 않으나, 그 현실에 대한 자각을 유도해 주는 것이 구토인 것이다.

이 소설의 서술은 지극히 혼란스럽고, 때로는 선정적이며, 때로는 너무나도 덤덤한 서술과 격정적인 서술을 오가면서 보는 독자에게 구토감을 일으키는 묘한 힘이 있다. 하지만 그런 느낌을 배제하고 일기를 써나가는 앙투안 로캉탱의 자세처럼 무덤덤하게 서술된 시간의 흐름을 역시 같은 태도로 읽어나가다 보면 전체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고, 그것이 작가가 이 글을 통해서 전달하고자 하는 바임을 곧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즉, 인간은 대체적으로 본질의 틀과 무관하게 행동할 수 있는 열린 실존적 존재이며, 고정된 범주 안에서 작동하는 본질과는 다르게 끊임없이 약동하는 실존의 모습은 그것을 자각한 자에게는 너무나도 생소한 모습으로 다가오며, 다시 그 구토감을 소화하고 난 뒤의 독자는 이제 실존의 세상에서 본질을 깨닫고, 실존과 본질의 관계를 정립할 수 있는 것이다.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본질과 실존을 오가면서 그것을 느끼지 못한 채로 삶을 살아간다. 또한 그것이 이제까지 인간들의 모습이며 사회의 모습이었고, 그것이 큰 문제가 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지금 현대는 과거와 같으나 조금 다르다. 표면에 대두되는 실존이 압도적으로 본질에 선행하며, 그 실존의 모습은 끊임없이 형태를 달리하며 지각을 혼란시킨다. 하물며 그 자체로 존재할 뿐인 돌멩이와 셔츠의 모습조차도 자각한 자에게는 낯섦과 불안함, 공포심에 가까운 감정을 유발했는데 현대인들이 보는 실존의 모습은 어떠하겠는가.

대오각성은 일순에 찾아 올 수도 있다. 로캉탱이 바로 그러하다. 자신의 삶을 살아가던 그는 어느 순간 세상에 존재하는 많은 것들 속의 실존에 치밀어오는 구토를 삼키게 된다. 또한 각성은 점진적이다. 깨달은 자는 또 다른 깨달음의 벽에 부딪히게 되고, 그것을 한 계단씩 나아가며 좀 더 깊고 높은 경지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그 과정은 괴로움을 동반하기 마련이다.

현대인들 또한 어느 순간 존재의 참맛을 느끼게 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맛이라는 것은 언어뿐 아니라 심상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임에 틀림없다. 우리는 혀 끝에서 무한한 환희와 매혹의 덩어리와 함께 끊이지 않는 악도 함께 느끼게 될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밝음에 가려 어두움을 보지 못하거나 혹은 그 반대의 실수를 저지름으로써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지지 못하게 된다. 만약 지각자의 감각이 어둠에 묻혔다면 범죄나 자살 등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반대의 경우에도 지나친 낙관주의나 타인에 대한 배려가 부족해지는 등의 결과를 낳을 수 있으며, 이 양자는 어느 한 순간에 역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요는, 그 중심을 잘 유지하는 것이다. 그림자와 빛 사이에는 항상 회색공간이 존재하는데, 우리 존재의 발 끝을 그 아슬아슬한 공간에 위치시키는 것이 존재 사이에서 표류하는 우리에게 요구되는 자세인 것이다. 중도라는 것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중도는 표면적 의미대로 중간에 위치함이 아니다. 약동하는 실존과 본질의 흐름 속에서 시대에 필요한 구심점을 찾아내는 것이 진정한 의미의 중도이다.

다음으로 실존의 홍수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재즈음악처럼 마음을 가라앉혀주는 소재는 무엇인가. 궁극적으로 글 속의 재즈음악이란 필연적인 것이고, 진부한 것이며, 질서 속에 존재하는 것이다. 틀 속에 갇혀 있는 존재이다. 즉, 향수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기실 이러한 단어적 사용은 유아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느낌을 제대로 전달할 수도 없다. 그러나 이러한 본질과 실존의 괴리가 이 서평을 읽는 이들에게 나름의 생각을 제각기의 표현으로 배출해 낼 계기가 된다면 그것 또한 좋을 것이다.

세상 속에 던져져 있는 자신을 자각하는 순간부터 철학은 시작될 것이다. 철학의 시작은 여러 곳에서 일어날 수 있지만 그 중 나는 자신으로부터의 철학을 추천하고 싶다. 또한 철학은 지극히 어렵고, 너무나 쉬운 것이다. 한 뼘의 글에도 자신의 생각이 담긴다면 그것이 철학이며, 진심이 담긴 몸짓 하나도 철학이다. 실존과 그 위에 덧붙여진 실존의 허위를 고발하는 장 폴 사르트르의 이 글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존을 만들어 내기 위한 노력을 포기하지 않는 모습으로 끝이 난다. 어찌 보면 이는 작가가 계속 서술해온 내용에 반대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본질은 우리의 감각 속에 존재할 수 없는 것이므로 실존을 통해서 표현될 수 밖에 없다. 그 한계를 깨닫는 순간 우리는 한계를 초월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되고, 작가가 찾은 방법은 존재 자체를 초월하려는 노력을 통해 존재를 지각시키고자하는 역설적인 방법인 것이다.

우리의 삶 또한 마찬가지이다. 타인의 평가뿐만 아니라 본인의 평가마저도 본질을 표현하지는 못한다. 그 실존과 본질의 거리가 어떠하든 결국 본질이 되지는 못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우리가 삶을 멈춰서야 되겠는가. 우리는 우리의 본질이 시키는 대로 행위하면 되고, 그것이 어떤 허위 없이도 우리의 본질과 존재를 부각시킨다. 그것을 깨달은 자의 삶은 고통스럽다. 하지만 그 고통스러움의 끝에는 선구자로서의 기쁨이 있을 것이고 우리의 존재가 사라지더라도 우리의 행위는 또 다른 존재로 남을 것이다.

글이란 읽는 자에게 어떤 감흥과 변화를 불러일으킬 때 좋은 글이라고 할 수 있다. 아마 이 소설 구토는 그러한 힘을 가진 글 중의 하나일 것이다. 하다못해 언어로 표현되지 못하는, 언어의 벽을 넘지 못하는 사유의 흐름을 한번이라도 따라갈 수 있다면, 또 본인의 사고 또한 그런 흐름을 가지고 있음을 깨닫는다면, 마지막으로 세상이 가진 실존의 홍수에 미소를 한번 보내줄 여유를 가지게 된다면 그것으로 이 글의 역할은 족하지 않나 싶다.



건국대 김우리나라

Posted by 행진

2008/04/01 01:14 2008/04/01 01:14
, ,
Response
받은 트랙백이 없고 , 댓글이 없습니다.
RSS :
http://stulink.jinbo.net/blog/rss/response/81

Trackback URL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