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호] 2006 여름문화학교 후기

관악 인문 05 미경


여름문화학교 웹자보를 보았을 때 느낀 감정은 ‘새로움’이었다. 프로그램을 보니 이미지, 스토리텔링을 통한 ‘나를 찾아가기라는 워크샵’, 여섯 개의 주제를 알아보고 소통하는 ‘여섯 개의 숟가락’, 그리고 고민과 소통의 결과를 문화로 표현하는 ‘길거리 문화제’까지! 새롭고 신선한 실험들, 고민들을 하고 있다고 느꼈고 그 시도들을 함께 하고 배워 오고 싶었다.

특히 반신자유주의 선봉대를 다녀와서 머릿속을 꽉 매웠던 고민들이 문화학교의 문제의식과 맞닿아 있는 부분들이 많았기에 “여행”은 일종의 탈출구이자 해방구였다. 선봉대 기간 동안 정작 대중을 만나는 것이 두려웠던 점들, 정작 대중에게 말하기가 어려운 점들이 고민으로 남았다. 소위 ‘운동권 개그’를 하면서 대중과 나는, 우리는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닌가, 대중의 언어를 잃어가고 있는 것은 아닌가 혼란스러웠다. 9박 10일 동안 동지들과 함께 투쟁하던 나와 선봉대 이후의 나는 동떨어진 모습인가 하는 고민들. 그렇게 선봉대 이후의 나의 삶과 운동이라는 것, 이 사회와 나는 어떤 관계에 있는지 혼란과 궁금함을 가득 안고 타는 목마름으로 “여행”을 찾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첫날 나를 찾는 워크샵에서는 나에 대해 이야기하고 나와 사회, 내가 사회를 보는 시각을 나눌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학교 미술시간에 느꼈던 부담감이나 속박 없이 정말로 ‘자유롭게’ 종이를 접고 그림을 그리는 과정 자체에서 큰 해방감을 느낄 수 있었고 더욱 편하게 나를 표현할 수 있었다. 문화학교 프로그램이 모두 ‘나’에서 시작하여 처음 만난 동지들과 ‘나’의 이야기를 해야만 하는 것이 부담스럽고 힘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여행”은 예상과 너무나 달랐다. 가족, 노동, 여성, 빈곤 등 나의 삶의 다양한 주제들에 대해서 우애로운 방식의 소통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과 희망을 발견할 수 있는 정말 소중한 시간들이었다.

사진을 골라서 고른 이유와 느낌을 이야기 하는 이미지텔링을 했는데 사진속의 모습을 신자유주의시대의 억압, 착취로만 해석하려는 나의 한계를 발견하고 부끄러웠다. 아무리 살아있다는 것은 싸우는 것이라지만 사진을 바라보는 관점이 ‘나’에서 출발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야기가 다양한 시각, 다양한 감수성으로 나의 문제의식과 고민에서 우러나오지 못하고 있었다. 사진속의 공간에서, 인물에게 나는 어떤 개입을 할 수 있을까 논의하며 끊임없이 ‘나’라는 자신과, 나의 일상과 운동을 고민할 수 있었다.

집회하러 가든, 놀러 가든 지하철에서 노숙인, 구걸인을 보고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조금이라도 해방적인 관계맺음을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고민하는 과정을 거치며 나의 일상과 운동이 이분화 되어 있음을 깨달았다. 어느새 집회에 가고 소통을 기획하는 등의 운동이 ‘일’로 여겨지고 운동과 여가시간이라는 것이 생겨난 것 같다. ‘운동 외의 여가시간에는’ 대중문화나 소비문화를 별다른 반성 없이 향유하기도 하고 지금 운동하고 있는 자신과 미래의 모습을 분리시키며 신자유주의시대의 이데올로기들을 따르기도 한다. 처음(사정상 주제가 네 개로 줄고 모두 하게 되기 전) 여섯 개의 주제 중 노동을 하고 싶었던 이유는 대학 졸업 후에 어떤 노동을 해야 즐거운 인생을 누릴 수 있을지, 신자유주의 시대의 인간이 노동을 통해 참된 해방을 누릴 수 있는지 고민이 되었기 때문이었다. 운동과 즐거움, 운동과 나의 해방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없었던 것이 나의 혼란의 근본적인 원인이었다.

각자의 활동공간을 지도로 표현하고 하나로 연결하면서, 또 무심코 지나쳤던 시장에서 가족, 여성, 노동, 빈곤의 주제들을 사진으로 포착하고 찾아내는 과정에서 피상적으로 바라봐 왔던 투쟁들을 ‘나’로부터 출발하는 삶의 고민으로 가져오고 타인의 해방과 나의 해방을 진지하게 맞대어 볼 수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운동을 결의하면서 언제나 ‘나는 행복 하느냐’고 스스로에게 묻는다. 제리 루빈이 혁명이 재미있어야 한다며 “웃음이 우리의 정치적 깃발이다”라고 한 말을 계속 떠올리고 있다. 사회의 변혁을 꿈꾸고 해방세상을 추구하는 것은 단순히 정부를, 체제를 교체하는 일이 아닐 것이다. 운동은 새로운 생활방식, 새로운 사고, 새로운 원리를 우리 삶에 가져오는 일이다. 교육투쟁을 함께 하자고 말하는 것이 등록금 인상률을 몇 퍼센트 낮춰내는 것만이 아닌 교육을 바라보는 관점을, 세상을 구성하는 원리들을 바꿔내자는 것처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느덧 여름방학이 지나고 개강. 나의 소중한 자치 공간, 반에서 많은 학우들과 부대끼게 된다. 할 얘기가 너무 많다. FTA3차 협상, 평택, 건설노동자투쟁, 노무현 정권 퇴진……. 여전히 설렘보다는 두려움이 앞서지만 당당해져야 하겠다고 다짐해 본다. 진지하게 삶을 고민하고 투쟁하며 즐겁게 사는 것이 운동이며 그것을 보여주는 것이 운동이라고 생각한다. 아직도 문화운동이라는 것이 낯설고 무엇을 해야 할지 잘 모르겠지만 “여행”에서 얻은 이런 고민들을 소중히 여기고 있다. 문화운동을 고민하는 것은 나를 찾고 너를 만나 함께 거리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것, 즉 함께 신자유주의에 반대하는 삶을 구성해 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여행” 중에 만난 동지가 했던 ‘살며, 사랑하며, 투쟁하며’라는 말을 계속 발음해 본다. 2학기에 끈질기게 살며, 사랑하며, 투쟁하며 노무현 정권을 퇴진시키겠다는 결의로^-^

Posted by 행진

2006/09/07 08:14 2006/09/07 08:14
, ,
Response
받은 트랙백이 없고 , 댓글이 없습니다.
RSS :
http://stulink.jinbo.net/blog/rss/response/21

Trackback URL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 Previous : 1 : ... 212 : 213 : 214 : 215 : 216 : 217 : 218 : 219 : 220 : ... 236 :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