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사] 2009 전국대학생대회에 초대합니다!


"등록금을 동결하겠다는 소식이 들려오지만, 겨울방학 시작과 함께 다시 과외와 알바사이트를 뒤져야만 합니다. 이명박 정권에 대한 실낱같은 희망은 사라지고, 초여름을 뜨겁게 달군 촛불의 기억은 씁쓸하고 아련하기만 합니다. 포탈사이트에서 정치권을 교묘히 놀리는 댓글에 잠시 웃음을 지어보지만, 그것이 우리에게 닥친 문제를 해결해주진 못합니다. 등록금 동결 때문에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잘릴 수도 있다는 얘기를 들었지만, 등록금과 학교 비정규직 문제가 둘 다 문제라고, 동시에 해결해야 한다고 말하기엔 나의 논리가 부족합니다. 그래서 나는 더 이상 그 노동자들에게 인사를 할 수가 없습니다.

정말로, 우리는 한쪽이 죽어야 한쪽이 살아남을 세상에 살고 있는건가요? 혹시 이 세상을 조금이라도 바꿀만한 어떤 대안은 없는 건가요? 우리들에게 희망이 있다고 믿는 당신, 마음 한구석에서 뭔가가 변하기를 꿈꾸는 당신, 전국대학생대회에서 만나고 싶습니다."

  전국학생행진(건)의 '2009 전국대학생대회'가 정말 얼마남지 않았습니다.

  새해 들어 지배계급들도 일자리 창출 등을 목표로 각종 정책을 발표하면서 한 편으로는 고통분담, 즉 민중에게 고통을 전가하려는 이데올로기적 공세를 전개하며 자신들의 의도를 관철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대응방향을 모색하려는 각 단체의 토론회가 하루걸러 하루씩 개최되고 있을 만큼 지금의 위기가 이 시대를 살고 있는 모두에게 '긴박한 위기'임을 절실히 느낄 수 있습니다. 우리 역시 회원들의 고민이 전국대학생대회 등의 자리에서 수렴되고 그 수다한 토론을 바탕으로 조금이라도 더 진전된 전망을 가지고 다시금 대중운동의 계획을 실물화시킬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뉴스레터 23호>는 이름 그대로, 전국대학생대회를 참가하기에 앞서 각 대학 행진 혹은 개인의 사전 학습/토론을 위하여 기획되었습니다. [교육]에서는 대학생대회 페미니즘 마당에서 기간의 반성폭력운동에 대한 논의를 함에 앞서 꼭 읽어보아야 할 신상숙의 글 <성폭력의 의미구성과 '성적 자기결정권'의 딜레마>를 실었습니다. 두번째 [토론]에서는 '메인토론:09년 대중운동의 전망'과 연관된 자료로서 경제위기-위기 손실의 전가라는 상황을 극복하려는 진보진영의 대응을 정리하며,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하는 것인지를 사전에 토론하는데에 있어 참고가 될 자료를 수록하였습니다. [뉴스클리핑]의 뉴스기사들을 읽으면서 최근 정세동향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읽을거리]에서는 최근 전세계적으로 이스라엘 항의집회 등으로 드러나는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공격에 대한 몇 가지 읽을거리를 소개해놓았습니다. 이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과 사실관계를 획득하길 바랍니다.


 ※ 애초에 기획했던 [읽을거리2]전국학생행진(건)의 문제의식에 대한 글을 사정상 수록하지 못하였고 발간이 다소 늦은 점에 대해 양해말씀 올립니다.

Posted by 행진

2009/01/15 16:06 2009/01/15 16:06
Response
받은 트랙백이 없고 , 댓글이 없습니다.
RSS :
http://stulink.jinbo.net/blog/rss/response/166

Trackback URL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 대학생대회 페미니즘 마당을 위한 사전학습:

신상숙 『성폭력의 의미구성과 ‘성적 자기결정권’의 딜레마』


신상숙씨의 글은 ‘성적 자기결정권’이 반성폭력 운동에 있어서 핵심적인 개념이 되기까지의 논쟁과 중요성에 대한 글입니다. 급진주의 페미니즘이 ‘개인적인 것의 정치’를 말하며 사적인 주제들을 공론의 장으로 끌어내어 반성폭력 운동을 만들어왔던 과정들 속에서 성폭력의 의미가 확장되고, 예전에는 쉽게 말하지 못하던 것들을 운동으로서 제기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90년대의 반성폭력 운동을 이끌어왔다고 할 수 있는 ‘성적 자기결정권의 침해’라는 성폭력의 정의가 과연 피해자의 성적 자율성을 신장하는 유효한 방향으로 자리매김 되어왔는가라는 질문에는 어떻게 답할 수 있을까요?

성적 자기결정권 개념은 보수주의와 자유주의 사이에서 끊임없이 진동하면서 여성이 성으로부터 해방되는 것이 진정한 여성해방이라고 말하는 자유주의의 함정에 빠지기도 합니다. 성차별적인 사회에서 여성이 시민으로서, 온전한 권리를 가진 개인으로서 살기 위해 제기된 성적 자기결정권이 오히려 여성을 위험에 처하게 하는 상황을 만들기도 했던 것을 보며 성적 자기결정권은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운동을 통해서 획득되어야 하는 권리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온전한 성적 자기결정권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어떤 운동들이 필요할까요? 그건 대학생대회때 열심히 토론해보도록 해요!

그리 짧은 글은 아니지만 꼼꼼하게 열심히 읽고 대학생대회때 만나요!


『성폭력의 의미구성과 ‘성적 자기결정권’의 딜레마』다운로드: 클릭! 

Posted by 행진

2009/01/15 16:06 2009/01/15 16:06
Response
받은 트랙백이 없고 , 댓글이 없습니다.
RSS :
http://stulink.jinbo.net/blog/rss/response/165

Trackback URL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Trackback URL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읽을거리1] 이스라엘, 침략을 중단하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을 둘러싼 역사를 살펴보면서 전쟁의 성격을 밝히고 요구안을 도출하자.

1> 이스라엘에 엄청난 액수의 자본과 무기를 지원해 온 미국은 국제사회가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침공을 비난하고 있는데도 상‧하원에서 ‘즉각적인 휴전과 이스라엘의 자위권 발동을 지지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키고 UN안보리 휴전결의안에 대해서는 기권 의사를 밝혔다. 미국이 이스라엘과 긴밀한 관계를 맺은 이유는 무엇인지, 냉전/탈냉전 시기에 중동에서 어떤 목표를 갖고 정책을 펼쳤는지 알아보자.

2> 중동 국가들의 세력관계와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을 둘러싼 최근 상황에 대해 조사하자.

 ① 벨포어선언(1917), 이스라엘 건국(1948) 이후 중동 국가들과 이스라엘의 관계를 알아보자.

 ② 82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 ▶ 87년 1차 인티파다(팔레스타인 봉기) ▶ 93년 오슬로 평화협정 ▶ 94년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출범 ▶ 00년 2차 안티파다 ▶ 05년 압바스(파타당) 취임 ▶ 06년 하마스의 총선 승리(하마스가 06년 총선에서 압승한 정세적 배경은 무엇인가?) ▶ 08년 이스라엘의 가자지구에 대한 봉쇄정책 및 휴전 종료 선언에 걸친 과정들을 알아보자.

 ③ 이스라엘의 가자지구에 대한 봉쇄정책은 가자주민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

 ④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과의 전쟁을 통해 무엇을 얻으려 하는가? 이스라엘은 서안과 가자지구에 어떻게 통치성을 유지하려 하는가?


3>
수 백 명의 팔레스타인 민중들이 죽어나가고 있는 전쟁은 민중들 스스로의 정치 자체가 불가능하도록 비극과 야만을 만들어내고 있다. 전 세계적인 저항을 통해 전쟁을 중단시키고 팔레스타인 민중들이 생존권, 평화권을 쟁취하기 위해 지금의 반전운동은 어떤 요구를 내걸어야 하는가? 또한, 우리는 이슬람 무장단체들의 활동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


4>
언론의 침묵과 무관심 속에서, 한국에서는 이스라엘의 침략전쟁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대학생들이 할 수 있는 일들에 대해 토론하고 실천하자.

 

읽어볼 거리!!

-홍미정, '국제 사회와 팔레스타인 영토 분쟁'(<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과 미국의 새로운 중동정책> 자료집 中) 다운로드: 클릭!

-경향신문, "2005년 압바스 팔레스타인 수반 당선"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1091806345&code=100203

-프레시안,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의 피'를 원하는 까닭은?"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40081228183029&section=05

-[경계를 넘어] "참세상 기고-이스라엘은 뭘 노렸나?"http://www.newscham.net/news/view.php?board=renewal_col&id=1519&page=1

 

Posted by 행진

2009/01/15 16:05 2009/01/15 16:05
Response
받은 트랙백이 없고 , 댓글이 없습니다.
RSS :
http://stulink.jinbo.net/blog/rss/response/163

Trackback URL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